목록전체 글 (133)
잔잔한 물결로 파도 만들기
최근 회사에서 운 좋게 신규 기능의 리서치-기획-개발을 A부터 Z까지 맡게 되었다. 직군 경계를 넘나들며 전체 워크플로우를 경험한 것이 유의미한 경험이었다. 혼자서 진행한 덕분에 커뮤니케이션 비용 없이 속도감 있게 몰입할 수 있었고, 각 단계마다 어떤 도구가 유용한지도 몸으로 익히게 되었다. 아래는 이번 업무 과정에서 실제로 활용했던 AI 모델과 도구들에 대한 개인적인 사용 기록이다. 아래는 내가 이번에 업무를 진행하면서 실제로 썼던 AI 관련 모델, 도구들이다. ChatGPT, Grok, Gemini (chat), Gemini 3.0, Claude Sonnet, Surf, Perplexity, Deepwiki, Cursor, AntiGravity 1. 리서치 (시장 조사)메인 (ChatGPT ⭐️⭐️⭐..
지난주에 회사 대표님과 점심 식사를 하며 다양한 얘기를 나누었다. 그 중 블로그에 공개하기 어려운 부분은 제외하고, 기억에 남았던 내용들을 기록해본다.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나의 생각을 첨가한 것도 있다. 거의 다 조직 관리, 사람에 대한 얘기인 것 같긴 하다. 1. 사업상 어려운 부분은 문제 정의보다 Operation에서 많이 나온다.- 문제 정의까지는 비교적 수월한데, 이걸 실행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어려움이 나온다.- 가장 어려운 것은 당연히 사람인 것 같다.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비용이 많이 들고, 왜곡도 많아 어렵다.- 같은 맥락에서, 히스토리가 쌓이다보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여러 이유로 실행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렇게 바꿉시다' 하면 각 구성원들 입장에서 큰 스트레스일 수 있음. 방향..
최근 SK하이닉스 주가가 심상치 않다. 6월달부터 현재(9월 16일 종가)까지 무려 62%가 상승했다.시가총액은 약 150조 원 -> 240조 원으로, 불과 3개월 반 사이에 90조 원이 뛰었다. 왜일까? 대충 AI 때문인 것 같긴 한데, 갑자기 메모리 반도체가 주목받는 이면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이 글의 목적은 주식 얘기를 길게 하고자 함은 아니다. 해당 블로그에 쓰는 글이 늘 그렇듯 기술적 호기심을 비전공자 수준에서 풀어보기 위해 정리한 글이다. 지난 7월, 하이닉스는 2Q25 컨퍼런스 콜에서 다음과 같은 언급을 했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Q. (HBM) AI 강한 수요로 HBM도 고성장을 기대한다. 2025년 이후 중장기 HBM 수요 ..
1. [Frontend Side][Browser]사용자가 https://application.com/products 같은 URL에 접근합니다.브라우저는 HTML 문서(index.html) 를 받기 위해 요청을 보냅니다. 2. [Frontend Side][Node Server: Next.js]Next.js 서버(Node.js + V8)가 요청을 받습니다.Next.js는 해당 경로(/products)에 대응하는 페이지 컴포넌트를 확인합니다.Pages Router라면 getServerSideProps / getStaticProps 같은 특수 함수 export 여부를 확인합니다.App Router라면 page.tsx 컴포넌트가 Server Component인지, async 함수인지를 확인합니다.만약 데이터 패칭..
흔히 이더리움 스테이킹 하면 은행에 예금하고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하게 생각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원금 입금 -> 이자 발생한 것을 Claim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자 발생 원리는 결국 이더리움의 토크노믹스를 활용한 메커니즘으로, 크립토만의 독특한 구조에 의해 탄생할 수 있었다. 이더리움 PoS 의 구조와, 해당 메커니즘 안에서 Validator 가 보상을 얻는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Staking 이 어떻게 이자를 발생시키는지를 대표적인 스테이킹 서비스인 Lido를 통해 알아보자. (*AI로 진행한 리서치임) Part 1. Ethereum PoS와 Validator1. Ethereum PoS 작동 원리이더리움은 지금 두 개의 층이 맞물려 돌아간다. 트랜잭션을 실..
데이터 신뢰의 탈중앙화... 그리고 블라인드 컴퓨팅이라는 신개념을 소개한 Nill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AI로 진행한 리서치입니다)1. 왜 Nillion인가?블록체인은 10여 년간 거래의 신뢰를 분산화해 왔다. 하지만 실제 비즈니스 데이터는 여전히 중앙 서버에서 풀로 열어본 뒤 처리하는 구조가 주류다. Nillion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선 프로젝트이며, 핵심은 Blind Computation(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저장·연산하는 방식)이다. 요약하면 '트랜잭션의 분산화가 아니라, 데이터 신뢰 그 자체의 분산화'다. 의료·금융·AI처럼 규제와 프라이버시가 생존 변수인 도메인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잠재력이 크다. 사이퍼펑크 운동은 '프라이버시는 권리이며, 기술로 지킨다'는 태도였..
질문 1Q.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는 원리,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그림자 양적완화 효과, 과도한 신용팽창 효과 등을 고려했을 때 매크로 불확실성이 생길 것 같아. 어떻게 보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때 MBS 구조와 유사한 것 같기도 하고.. 국채 가격이 엄청 떨어지면 문제가 생길수도 있는 거 아니야?A. ChatGPT: 너무 좋은 문제의식이야. 실제로 지금의 스테이블코인 구조, 특히 USDT(테더), USDC(써클) 등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Fiat-backed stablecoins)은 신용팽창 및 유동성 공급 측면에서 '그림자 양적완화(Shadow QE)'로 볼 수 있고, 몇 가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해.1. 스테이블코인 발행 원리: 달러 MMF의 암호화 버전사용자가 1 USDT를 받기 위해 발행사(테..
(AI로 진행한 리서치) Stripe 기업 개요Stripe는 2010년 아일랜드 출신 콜리슨(Collison) 형제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한 핀테크 기업이다. 초기에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온라인 결제 처리 플랫폼을 제공하며 성장했으며, 2013년 영국/아일랜드, 2014년 호주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빠르게 확대했다. Stripe는 웹사이트나 앱에 몇 줄의 코드만으로 결제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개발자 친화적 API 기반 결제 게이트웨이로 명성을 얻었는데, 내부적으로 '돈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표현으로 자사 서비스를 홍보할 정도로 기술적인 간편함을 강조했다. Stripe의 미션은 '온라인 비즈니스가 결제를 수납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상거래를 성장시키는 ..
EVM 에 대해서는 추후에 깊게 다뤄보고 싶긴 하나, 일단은 기존 프로그래밍에서의 가상머신(VM) 개념과 유사하게, 스마트컨트랙트 바이트코드를 실행하는 일종의 분산형 VM이라고 이해했다. 월드 컴퓨터를 지향하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특성상,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가 EVM을 실행 환경으로 갖고 있어 동일한 조건에서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olidity는 이더리움 개발팀에서 만들어진 EVM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이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된다. EVM은 Solidity를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고 실행하는 데 최적화된 환경이고, 생태계가 발달하여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어느정도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독립 체인들이 EVM을 채택하여, 이더리움과 유사한 개발 환경 ..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모델과 계정/잔액(Account/Balance) 모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자산의 소유 및 이동을 기록하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저장 방식이다.⸻1. UTXO (Unspent Transaction Output) 모델 대표 사례: 비트코인, 카르다노UTXO 는 각 트랜잭션의 output을 담은 객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UTXO 내용을 추적하여 특정 계좌의 잔액을 계산한다.각 트랜잭션은 입력(Input)과 출력(Output)으로 구성되며, 새로운 잔액은 이전 거래의 UTXO 를 고려하여 새로 계산된다. 위 그림에서 F 는 A, B 로부터 각각 BTC 를 받아 3 BTC를 보유하고 있다.그러나 F 계좌에 3 BTC가 있다고 저장하지 않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