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네트워크 (Network)

(12)
네트워크 모델 | (1) OSI 모델, TCP/IP 모델 개요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구조적 특징을 알아봤으니, 이번에는 이 구조 위에서 어떤 방식으로 네트워크 서비스가 동작하는지를 알아볼 차례!!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워크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가지 모델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과 TCP/IP 4계층 모델이다. 왜 사람들은 이 두 가지 모델을 통해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할까? 계층적 구조: 이 모델들은 네트워크 기능을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는 복잡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 계층적 접근 방식은 매우 유용하다. 어플리케이션부터 시작해..
네트워크 아키텍처 | (2) LAN, WAN,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네트워크 노드(= 호스트)와 링크가 무엇인지 한번 살펴봤고, 이제 이를 기반으로 대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을 조금 더 이해해보자👍 LAN & WAN (아키텍처 of 범위) 이름 설명 LAN (Local Area Network) 가까운 지역을 서로 연결한 지역 영역 네트워크. 한 건물이나 캠퍼스 등에서 주로 쓰고, 스타크래프트 게임 할 때 많이들 접했을 단어이다. WAN (Wide Area Network) 멀리있는 지역을 서로 연결한 광역 네트워크. 국가, 대륙 급의 넓은 범위를 커버한다. LAN: 이더넷 이더넷은 한 개의 방, 하나의 층 등 매우 국소적으로 사용한다. 이더넷 세그먼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허브들이 호스트들을 연결하고, 이들은 전선들로 연결된다. 만약 A ~ Z 호스트가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 | (1) 네트워크 노드, Host, 링크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큰 그림 에서 네트워크를 노드와 링크로 이해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럼 정보를 주고받는 각 장치나 포인트인 노드, 그리고 노드들을 연결해주는 링크는 현실 세계의 무엇을 가리키는 말일까? 네트워크 노드 vs 호스트(Host)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 스위치 라우터, 프린터, CCTV 등등.. 무수히 많다. 그 중에서도 컴퓨터 혹은 서버는 호스트(Host)라고 부른다. 따라서 호스트를 정의하자면, 컴퓨터이면서 동시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대상을 말한다. 근데 호스트라고 다 같은 놈이 아니다. 네트워크 세계에서 데이터를 받고 보내기 위해 서있는 애들 중에서는 말 그대로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친구가 있고, 네트워크가 전송되는 ..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큰 그림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전자장치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 시스템이다. 하나의 로컬 컴퓨터가 독자적으로만 작동하면, 이 컴퓨터의 활용도는 컴퓨터 자체의 리소스와 직접 input 해주는 데이터에 제한될 것이다. CSAPP 초반에 네트워크 또한 하나의 입출력 장치로 볼 수 있다는 문구가 있다.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이는 하드웨어의 제약을 넘어 다른 공간, 다른 객체의 데이터와 리소스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실시간 통신까지 가능하게 된다. 엄청난 확장성을 갖게 해주는 강력한 입출력 장치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말 그대로 전자장치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된 시스템을 말한다. 사내 내부망도 네트워크이고, 우리가 잘 아는 internet도 네트워크의 일종이..